한국지식재산학회

논문검색

eISSN : 2733-9483

산업재산권, Vol.76 (2023)
pp.431~454

DOI : 10.36669/ip.2023.76.11

-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스타일 모방의 저작권 침해에 관한 연구 -

박유선

(강원대학교 데이터·지식재산융합학과 교수, 법학박사, 미국 변호사.)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과 대중화와 함께 생성형 AI의 프 롬프트에 특정 작가의 이름과 스타일을 지시하여 기존 저작물의 스타일이 나 창작풍과 유사한 AI 창작물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원저작물로부터 단순히 영감을 얻었거나 아이디어를 채용하여 스타일이 유사할 뿐 두 작품간 실질적 유사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저작권 침해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량의 비공개 학습데이터에서 저작물을 특정하여 실질적 유사성을 입증하기 매우 어려운 환경에서, 실질적 유사성에는 이르지 않으 나 AI 창작물이 원저작물의 스타일, 특유의 표현 방식을 모방하여 시장에서 원저작물과 경쟁 관계에 놓이거나 원저작권자 쌓아온 명성이나 유명세에 편승하여 원저작물을 대체할 경우 저작권자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할 수 있다. 최근 Andy Warhol Foundation 사건에서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은 이용 행위가 시장에서 원저작물과 경쟁 관계에 있거나 대체할 수 있을 경우 공정 이용으로 판단되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생성형 AI의 기술 발전이 인간 의 창작활동을 자극하고 지원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A Study on Copyright Infringement in Mimicking Artist’s Style by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Yusun Park

In light of recent advancements i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capacity to direct AI prompts with specific artist’ names and styles has emerged, resulting in the generation of AI-created works bearing semblance to existing artistic compositions. While the incorporation of inspiration or ideas from original works generally falls within acceptable bounds under Copyright Law, instances wherein AI replicates the style and distinctive expression of original works, potentially competing in the market or capitalizing on the established reputation of the original creator, may impinge upon economic interests. The recent ruling by the U.S. Supreme Court in Andy Warhol Foundation v. Goldsmith highlights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fair use when the use in question may compete with or serve as a substitute for the original work in the market. As the evolution of generative AI continues, imperative discourse is necessitated to navigate the delicate equilibrium between fostering human creativity and safeguarding the economic interests of creators.

다운로드 리스트